![코스피 3100 시대가 열렸다.[사진=뉴시스]](https://cdn.fortunekorea.co.kr/news/photo/202506/48700_41981_1412.jpg)
3100 고지를 점령하고도 코스피지수의 상승세가 여전하다. 24일 코스피지수는 전날보다 2.96% 상승한 3103.64에 거래를 마쳤다. 코스피지수가 3100선을 돌파한 것은 2021년 9월 이후 약 3년 9개월 만이다. 이튿날인 25일에도 0.15% 오른 3108.25에 거래를 마쳤다. 이스라엘-이란 간 군사적 충돌 불씨가 남은 상황에서도 투자 열기가 꺾이지 않았다. 증권가에서는 새 정부 정책 모멘텀이 본격화하면, 내년 상반기 3700선도 넘볼 수 있다고 점치고 있다.
흥미로운 건 랠리를 이끄는 종목들의 면면이다. 상승률 상위 종목의 업종과 오른 이유가 제각각이라서다. 가령 이재명 정부가 출범한 6월 4일부터 25일까지의 등락률을 보면, 유가증권시장에서 주가가 가장 많이 오른 건 카카오페이다. 이 기간 무려 145.87%(3만 8150 원→9만 3800 원)나 올랐다. 이번 상승은 정부의 디지털 자산 정책 수혜 기대와 맞물린 영향이 크다. 현재 시장의 관심을 한 몸에 받는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사업의 핵심 수혜주로 카카오페이가 주목받았다.
두 번째로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건 풍산(107.97%)이다. 지난 4일 6만 2700 원에 출발한 주가가 25일엔 13만 400 원에 마감했다. 전 세계적으로 지정학적 리스크가 커지는 가운데 국내 유일의 탄약 생산업체란 매력이 부각됐다. 미국과 우리나라의 원전 산업 확대 기대에 원전 설계회사인 한전기술은 주가가 85.62%나 상승했다.
이 밖에도 이재명 정부의 상법 개정 재추진 수혜주로 꼽히는 SK스퀘어(74.25%), 공공 AI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LG씨엔에스(69.64%), 디지털뱅킹 사업을 신사업으로 낙점한 제주은행(66.13%) 등이 극적인 상승률을 보였다.
이렇듯 각기 다른 이유로 날개를 단 종목이 시장 전체를 끌어올리고 있다. 과연 이 불씨가 내년 3700선 돌파로 이어질지, 투자자들의 기대도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 슬롯사이트 업 김다린 기자 quill@fortunekore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