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30 세계박람회 개최지 발표가50일이 채 안 남은 가운데, 민관과 기업인들이 '막판 총력전'에 돌입했다.
대한상공회의소와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위원회는지난9일(현지 시간) 프랑스 파리 파빌리온 가브리엘에서 '2030부산세계박람회 심포지엄'을 열었다.
이날 행사에는 드미트리 케르켄테즈 국제박람회기구(이하 BIE) 사무총장과 한덕수 국무총리,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SK그룹 회장), 장성민 대통령 특사, 정의선 현대기아차그룹 회장 등 민관과 기업인, 관계자200여 명이 참석했다.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나라마다 저마다 직면한과제들이 있다"며 "우리는 나라별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고자 한다. 누가 다른 나라가 처한 어려움을 고민해 주겠나?"고 말했다.
이어만찬사에서 "지금인류가 당면한 기후변화, 에너지 전환 등의 문제들은 한두 국가 차원에서 해결할 수 없다"며 "부산 엑스포는 전 세계가 머리를 맞대고해결책을 모색하는 논의의 장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한덕수 총리는 개회사를 통해 "부산세계박람회는 국가 간 격차를 줄이고 범지구적 문제를 해결해나가기 위해 협력하는 연대의 플랫폼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리프킨 미국 경제동향연구재단 이사장은 부산을 개최지로 선정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한국은 과거 어려운 상황에서도 강한 복원력 보여준 나라다. 지구촌에 '한국이 했으니 우리도 한다'는 영감을 줄 수 있다"며 "특히 부산은 GDP와 삶의 질 지표의 조화가 이루어지는 지역"이라고 말했다.
한편 14일에는 민간이 갈라 디너를 열어BIE 회원국 대표들을 맞을 예정이다. 반기문 전 UN 사무총장, 칼라 브루니, 싸이 등 국내외 주요 인사 및 셀럽, 기업인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 바카라 보너스 기준 이세연 기자 mvdirector@fortunekore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