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다음달 전국서 2만여 가구 입주…수도권 물량 편중

1만 9392가구 '집들이'…전년동월比 32%↓

  • 슬롯 무료 사이트입력 2023.04.24 09:42
  • 기자명김동현 기자
[사진=뉴시스]
[사진=뉴시스]

다음달 전국에서 2만여 가구가 집들이에 나서는 가운데, 대부분의 입주 물량이 수도권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5월 입주 물량은 전월(1만 8425가구)보다 5%, 전년 동월(2만 8617가구) 대비 32%가량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권역별로는 수도권이 1만866가구, 지방8526가구로 나타났다. 수도권에서는 경기 입주 물량이 1만524가구, 인천 342가구 등이다.

지방에서는 울산이 2017년 9월 이후로 가장 많은 2840가구가 입주를 앞두고 있다.

[자료=직방]
[자료=직방]

한편, 이달 초 전매제한 규정이 완화되면서 대부분 단지의 분양권 거래가 가능해졌지만, 아직 뚜렷한 거래량 증가는 보이지 않고 있는 것으로 직방은 분석했다.

이에 실거주 의무 폐지 및 분양권 양도세율 완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분양권의 경우 계약일로부터 1년 미만 보유는 시세차익의 70%, 그 외 경우는 60% 세율로 양도소득세를 내야 해 거래 부담이 큰 편이다.

정부는 단기 양도 세율을 보유기간 1년 미만은 45%, 1년 이상일 경우 양도세를 폐지하는 방향으로 관련법을 개정할 계획이다.

공공택지, 민간택지 등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되는 일부 단지의 경우 2~5년간의 실거주 의무가 있어 전매가 풀렸더라도 거래 후 실거주 완성을 위해 매도자가 해당 주택을 재임차해야 하는 상황으로 전매제한 완화 효과가 아직인 부분도 있다.

실거주 폐지 관련법은 이달 26일 주택법 개정안 심사가 진행될 예정으로, 개정안 통과 여부가 분양권 거래 시장에도영향을 줄 전망이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이달 초 전매제한 규정이 완화됐지만실거주 의무 폐지 및 분양권 양도세율 완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더욱 높아지는 모양새"라며 "분양권의 경우 계약일로부터 1년 미만 보유는 시세차익의 70%, 그외 경우는 60%세율로 양도소득세를 내야해 거래 부담이 큰 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실거주 의무 폐지와 관련된 주택법 개정안이 아직 통과되지 않아 전매제한 완화 효과가 아직인 부분도 있다"며 "공공택지, 민간택지 등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되는 일부 단지의 경우 2~5년간의 실거주의무가 있어 전매가 풀렸더라도 거래 후 실거주 완성을 위해 매도자가 해당주택을 재임차해야하는 상황이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 슬롯 무료 사이트 김동현 기자 gaed@fortunekorea.co.kr

이 슬롯 무료 사이트를 공유합니다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