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값이 온스당 4000슬롯사이트 소닉 메이저를 돌파했다.[사진=셔터스톡]](https://cdn.fortunekorea.co.kr/news/photo/202510/50233_43843_1252.jpg)
올해 들어 거의 50% 급등한 금값. 현재 흐름을 유지하면 이르면 2028년에 추가로 150% 뛰어 온스당 1만 달러에 이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금 가격은 최근 사상 처음으로 온스당 4000 달러를 돌파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대중국 추가 관세 100%와 소프트웨어 수출 제한을 예고하자 금이 1.5% 추가 상승했다. 주식시장은 4월 무역전쟁 혼란 정점 이후 최악의 하락을 기록했고, 달러는 약세였다. 안전자산 선호가 강화된 것이다.
시장 베테랑 에드 야데니(야데니 리서치 대표)는 월요일 노트에서 그간 자신이 제시한 금값 강세 전망을 점검했다. 금이 그의 예상 시점을 잇달아 앞당겨 돌파했다는 설명이다. 그는 인플레이션 헤지로서의 전통적 역할, 러시아 외환 동결 이후 중앙은행의 탈달러 행보, 중국 부동산 거품 붕괴, 트럼프의 무역전쟁과 지정학 질서 교란 시도 등을 근거로 들었다.
야데니는 “2026년 5000 달러를 목표로 본다”면서 “현재 경로가 이어지면 10년이 끝나기 전 1만 달러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2023년 말 이후 궤적을 대입하면 2028년 중반에서 2029년 초 사이 온스당 1만 달러에 도달할 수 있다는 계산이다.
최근 금값은 연준의 금리 인하 재개도 추세를 거들었다. 정책 당국이 높은 관세 환경 속에서 2% 물가 목표보다 약한 노동시장에 더 초점을 두는 흐름이다. 공격적 완화 신호는 아니지만, 성장률이 견조한 상황에서 추가 인하 가능성은 인플레 우려를 키우고 있다.
미국을 포함한 선진국의 급증한 부채는 통화에 대한 불신을 키웠다. 정부가 부채 경감을 위해 높은 인플레를 용인할 수 있다는 관측 속에 금과 비트코인 등으로 자금이 이동하는 ‘디베이스먼트 트레이드’가 확산 중이다.
캐피털 이코노믹스의 하마드 후세인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노트에서 금 투자에 ‘FOMO’가 스며들고 있어 객관적 가치평가가 어려워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상승은 이어지겠지만 핵심 추세의 힘이 약해지며 속도는 둔화할 수 있다고 봤다.
그는 금리 인하, 지정학 불확실성, 재정 지속 가능성 우려를 상승 요인으로 꼽았다.동시에 최근 달러가 비교적 안정적이고 물가연동채 금리가 높았다는 점을 과열의 신호로 꼽았다. “금은 현금흐름이 없어 본질가치 산정이 어렵다. 그럼에도 향후 몇 년 명목가격은 점진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
/ 글 Jason Ma & 편집 김다린 기자 quill@fortunekore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