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한은, 두달 연속 기준금리 인상…"당분간 물가중심 통화정책"

연 1.75%로 0.25%p↑…물가상승 압력 및 한-미 금리역전 가능성 고려

  • 무료 슬롯사이트입력 2022.05.26 14:02
  • 최종수정 2022.05.27 08:07
  • 기자명공인호 기자
[사진=뉴시스]
[사진=뉴시스]

한국은행이 글로벌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기 위해 5월 기준금리를0.25%포인트 추가로인상했다. 한은이 기준금리를 두달 연속 인상한 것은 15년만에 처음으로, 기준금리 0.5%포인트 이상 인상을 의미하는 미국의 '빅 스텝' 행보도 영향을 미친것으로 풀이된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26일 오전 열린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현재 연 1.50%인 기준금리를 1.75%로 0.25%포인트 끌어올렸다.

앞서 한은은 지난 2020년코로나19 충격에 대응한 금리인하 행보 이후, 지난해 8월부터 통화정책 정상화에 시동을 걸었다. 이후 같은해 11월에도 각각 0.25%포인트 인상한 뒤, 올 들어서도 1월과 4월에 0.25%포인트씩금리인상에 나섰다. 이달까지 총 5차례에 걸친 금리인상으로 9개월 사이 기준금리는 1.25%포인트 높아졌다.

특히 한은이 두달 연속 금리인상에 나선 것은 지난 2007년 7~8월 이후 15년 여만에 처음이다. 그만큼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지고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실제 지난 4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작년 같은 달보다 4.8%나 뛰었는데, 이는 13년 6개월 만에 최고치다.

이는 국제 에너지 가격 급등과 공급망 차질 등의 영향에서 비롯된 것으로, 인플레이션 압력이국내외 복합적으로맞물리고 있다는 점에서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이로 인해 5월 기대인플레이션율도 3.3%로 9년 7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여기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추가 '빅 스텝' 가능성도 한은의 운신의 폭을 좁히는 요인이다. 앞서 연준은 지난 3일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22년만에 빅 스텝에 나서정책금리(기준금리) 목표 범위를 0.25∼0.50%에서 0.75∼1.00%로 인상했다.

한미간 기준금리 격차가 좁아질경우,자칫외국인 투자자금 유출로 인한 외환시장 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다.때문에 한은의 통화정책 정상화 행보는 올 하반기까지 이어질공산이 크다는 게 전문가들의중론이다. 금통위의이날 금리인상 결정도 '만장일치'였다.

이창용 한은 총재도금통위 정례회의 직후 열린 간담회에서 "현재 상황에서는 물가 위험이 크다고 판단하고 있다. 앞으로 수개월 간 물가를 중심으로 통화정책을 운용할 것"이라며 추가 인상을 시사했다.

그는 또 "지금 추세를 보면 물가 상승률의 정점이 올해 상반기보다는 중반기 이후에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면서 "유가가 내려간다고 해도 국제 곡물 가격이 오르고 있고 곡물 가격은 한번 오르면 상당 기간 지속된다"고 우려했다.

'연말 기준금리 2.25∼2.50% 전망이 합리적이냐'는 질문에는 "지난 2월과 비교해 지금 인플레이션 전망치가 높아졌기 때문에 당연히 시장의 기대가 올라간 것은 합리적 기대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다만 기준금리의 추가 인상 시기에 대해서는 "5월 나오는 물가 상승률이 5%대를 기록할 것으로 보이고, 미국 중앙은행의 발표도 있어서 이런 데이터들을 보고 판단해야 할 것"이고 밝혔다.

한편, 한은은 수정 경제전망에서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기존의 3.1%에서 4.5%로 대폭 상향 조정하고,경제성장률은 3.0%에서 2.7%로 낮춰 잡았다.

공인호 기자 ball@fortunekorea.co.kr

이 무료 슬롯사이트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무료 슬롯사이트 디지털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