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hy? 고금리, 고물가가 소비 및 투자 회복을 가로막은 게 가장 큰 원인이다.]
3분기 제조업 체감경기가 크게 하락했다.
대한상공회의소(이하 대한상의)가 전국 2238개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2024년 3분기 제조업 경기전망지수(BSI)'를 조사한 결과, 직전 분기(99) 대비 10p, 전년 동기(91) 대비 2p 하락한 89로 집계됐다. BSI는 100 이상이면 해당 분기 경기를 이전 분기보다 긍정적으로 본 기업이 많다는 의미고, 100 이하면 그 반대다.
당초 체감경기는 IT 주도로 수출 중심 회복세를 보였으나, 내수기업과 중소기업의 부정적 전망이 늘고전통 제조업 침체가 지속하며 제동이 걸렸다. 매출액을 기준으로 수출 비중 50%를 전후해 수출기업과 내수기업으로 구분했을 때, 내수기업의 3분기 전망이 10p 하락한 88로 집계되어 수출기업의 전망치 94대비 부정적 응답이 많았다. 수출 회복세가 반도체 등 일부 업종에 국한되고, 고금리·고물가 상황이 예상보다 길어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내수기업들의 우려가 커진 것으로 해석된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을 구분해 수출기업과 내수기업의 3분기 전망치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전분기 대비 부정적 전망이 높아진 가운데, 내수기업의 부정적 전망 상승폭이 컸다. BSI 하락폭이 더 컸다는 말이다.
3분기 경기전망이 상승하면서 기준치 100을 상회한 업종은 반도체가 유일했다. 반도체는 3분기 전망치가 전분기 대비 8p 상승하며 122를 기록, 기준치를 크게 상회했다. AI 확산 등 IT 경기가 살아나며 고부가 메모리 및 장비 수요 등이 모두 증가한 영향이다.
'의료·정밀기기'와 '전기장비' 업종도 3분기 경기전망이 각각 108과 101로 집계되어 긍정적 전망이 우세했지만, 2분기 대비 각각 11p, 16p 하락하며 반등세가 꺾인 모습이다. 의료·정밀기기 업종은 미용 및 의료기기 수출 증가세가 지속 중지만 의료파업이 발목을 잡았고다. '전기장비' 업종은 IT 경기 회복에 따른 전력·전선 수요 증가와 미국 전력망 인프라 교체가 호재로 작용했으나, 배터리 기업 중심으로 부정적 전망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철강', '정유·석유화학', '비금속광물' 등 전통 제조업은 부진한 업황이 심화할 것으로 전망됐다. 철강(79)은 전방산업 부진, 중국 및 일본의 값싼 수입재 유입 등으로 부정적 전망이 우세했고, 정유·석유화학(85) 업종도 주요 시장에서 중국산 저가 공세가 본격화하며 어려움이 커질 것으로 예상됐다. 비금속광물(67) 업종은 건설 자재 수요 감소와 장마, 폭염 등 계절적 비수기가 겹치면서 3분기 전망치가 가장 낮은 업종으로 조사됐다.
전분기 대비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한 제약(105→78) 업종은 원재료 원가 상승 부담에 의료 파업에 따른 수주 감소가 겹치며 1분기 만에 전망치가 기준치 이하로 떨어졌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상반기 수출 개선에도 고금리, 고물가가 소비 및 투자 회복을 가로막으며 업종별 기업 체감경기가 다르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며 "투자와 소비를 통해 경제 활력을 높일 수 있는 지원책 마련과 함께 수출시장별 틈새 전략을 민관이 함께 모색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 바카라 에볼루션 김타영 기자 young@fortunekore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