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https://cdn.fortunekorea.co.kr/news/photo/202312/32644_23822_838.png)
크리스타 하덴 미국 낙농위원회(NDC) 대표가 21일(현지 시간) 포춘US에 육류 및 유제품 무역이 기후변화 해결에 결정적이라고 주장했다.
식품 운송 산업은 기후변화에 기여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작년 네이처 푸드저널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식품 운송분야는 전세계 탄소배출량의 약 6%를 차지했다. 탄소배출이 많은 것으로 여겨지는 항공 산업이 2%대인 것과 비교해 높다.
하덴은 식량 운송 과정에서 생겨나는 탄소배출량이 과장되었다고 지적했다. 그는 "식품 운송거리에만 초점을 맞추면 토지 이용방식, 생산 방식, 보관 등 제품이 배출하는 탄소량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요소가 흐려진다"고 강조했다.
오히려 식품 무역이 기후변화 대책에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유제품을 효율적으로 생산하고, 개발하는 친환경 기술, 도구, 지식을 교환할 통로가 생기기 때문이다. 하덴은 "온실가스 배출을 감축하면서 전 세계의 식량 요구사항을 충족하고 식량 안보를 지키는데 점점 더 큰 역할을 수행하는 미국 낙농산업의 지속적인 노력"을 강조했다.
이어 식품무역 규제로 전세계 보건 영양 공급이 부족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2022년 10월 네이처 기후변화 저널의 분석을 언급하며 무역을 제한할 때, 영양실조 유병률이 최대 47%까지 증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무역장벽이 줄어들수록 기후변화로 발생한 식량부족을 해결해 영양실조를 최대 64%까지 줄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미국 낙농업계가 기울인 친환경 노력도 소개했다. 주요 우유생산국인 북미 낙농업계는 2005부터 2015년까지 우유 생산량을 2.1% 증가했지만, 온실가스 배출도를 매년 2.2% 감축했다고 밝혔다. 그는 생산성 향상, 농장 내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 대기 중 탄소를 저장하는 토양의 잠재력 증대, 수질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토양 관리 관행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덴은 "지구의 기후와 기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가 배운 모든 것을 적용하기 위해 낭비할 시간이 없다"고 강조했다.
※해당 카지노 게임 사이트는 Fortune.com 원문을 바탕으로 작성됐습니다.
글 KRYSTA HARDEN &육지훈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