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라그마틱 슬롯사이트(FORTUNE KOREA)=공인호 기자]한국거래소가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물적분할' 및 '경영진 스톡옵션' 행사와관련해 투자자들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 마련에 착수한다.
25일 손병두 한국거래소 이사장은 물적분할 후 모자회사 동시상장, 경영진 스톡옵션 행사와 관련해투자자 보호 방안을 적극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손 이사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 사옥에서 열린 신년 간담회에서 물적분할논란에 대해 "심사 과정에서 모회사 주주 의견을 반영했는지를 묻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시장에서는 LG에너지솔루션의 물적분할을 통한 '쪼개기 상장'을 계기로모회사인 LG화학 주주들을 중심으로 '주주 이익 훼손'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커진 바 있다.
이에 대해 손 이사장은 "물적 분할 시 기존 주주에게 주식매수청구권이나 신주인수권을 부여하는 등의 방식도 거론되지만, 자본시장법, 상법 개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상당한 시간이걸린다"며 "상장 심사 시 주주 의견을 들었는지를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관련 심사조항에 포함하는 것은 법이나 규정 개정이 없어도 된다"고 설명했다.
카카오페이 경영진의 '먹튀' 논란으로 불거진 스톡옵션 행사 문제에 대해선 "국회에서 내부자들의 주식거래 사전 신고를 법제화하는 안, 상장 이후 스톡옵션의 매각을 일정 기간 금지하는 안 등이 논의되고 있다"며 "중론이 모이면 충분히 참고해 이행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사견임을 전제로 "(일정 기간) 스톡옵션 행사 자체를 금지하는 것은 시장 친화적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신고하고 일정 기간이 지난 다음에 행사하게 하는 식의 간접적인 규제 방안이 선진적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근 오스템임플란트 대규모 횡령 사건과 관련해서는 거래소의 시장감시 기능에 문제가 없다고 잘라 말했다.
그는 "오스템임플란트 횡령 건은 내부통제의 문제이지, 거래소에서 할 수 있는 시장감시 부분은 충분했다고 본다"며 "동진쎄미켐, 엔씨소프트 거래 내용에 대해 시세조종 행위가 있었는지 보고 있었지만 이를 횡령 자금과 연결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라고 설명했다.
개인투자자들의 대규모 손실이 우려되는 신라젠 등 사례에서 '상장폐지 결정 기간이 너무 길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기업이 다시 영업 지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시간을 드리는 것이 투자자에 대한 도리"라며"기간을 줄이기 위해 불필요한 절차를 솎아내는 과정에 있다"고 소개했다.
공인호 기자 ball@fortunekore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