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사이트사이트는 물가 상승으로 이어진다.[사진=셔터스톡]](https://cdn.fortunekorea.co.kr/news/photo/202504/47619_40664_2933.jp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대규모 관세 조치로, 미국 소비자들에게 상당한 물가 충격이 예상된다. 예일대학교 예산연구소(Yale Budget Lab)는 미국 가구당 연간 3800달러(약 558만 원)의 부담이 발생할 것으로 추산했다. 그 결과, 미국 경제 전체로는 연간 1000억~1800억 달러의 손실이 예상된다.
많은 전문가들이 트럼프의 결정을 비난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싱크탱크 택스파운데이션(Tax Foundation)은 “이번 관세가 1980년대 이후 가장 큰 소비자 증세”라고 지적했다. 골드만삭스의 애시시 샤 공개시장 투자 CIO도 “관세는 사실상 소비자에게 부과되는 세금”이라고 꼬집었다.
아직 최종 세율이나 구체 대상 품목이 확정된 것은 아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 여지를 남겨둔 상태다. 그렇다고 가격 상승 우려가 작아지는 건 아니다. 특히 아래 6가지 항목들이 그렇다.
1. 식료품(Groceries)
지난해 대선 때 계란값 폭등이 이슈였고, 트럼프는 취임 첫날부터 물가를 낮추겠다고 장담했다. 하지만 새 관세로, 가격 인하가 아닌 오히려 상당수 신선식품 가격이 오를 가능성이 높다고 전문가들은 본다.
미 식품의약국에 따르면 미국 식품의 약 15%는 수입에 의존한다. 아보카도, 바나나, 포도, 멜론 등 과일류와, 소고기·치즈·초콜릿·커피·올리브유·해산물 등 품목들의 가격 상승이 예상된다. 특히 신선식품의 상승폭이 클 것으로 예일대 예산연구소는 전망했다.
2. 자동차(Cars)
관세가 없을 때도 신차 가격이 너무 올라서 많은 소비자가 감당하기 어려웠다. 자동차 정보업체 카구루스(CarGurus)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기준 신차 평균 가격이 4만 9500 달러였다. 3만 달러 미만 차량 비중은 2020년 1분기 37%에서 올해 13%로 줄었다.
관세 부과 시, 평균 가격이 약 3300달러 올라 5만 2800 달러가 될 것이라는 게 카구루스의 분석이다. 예일 측은 그보다 더 높은 4000 달러 인상을 점쳤다. 트럼프 대통령은 “가격이 올라봐야, 결국 (소비자들이) 미국차를 살 것”이라고 말했지만, 중고차도 부품 수입 비용이 올라서 수리비가 인상될 공산이 있다.
3. 주택(Homes)
이미 사상 최고 수준인 집값이, 보편적 관세까지 맞으면 주택업계 추산으로 평균 9200 달러가 더 오를 가능성이 있다(2025년 3월 전미주택건설업협회·웰스파고 주택시장지수). 집을 지을 때 필요한 자재 상당수가 수입품인 데다가, 특히 캐나다산 연질목재(소프트우드)는 미국 주택 건축에 필수인데, 이 역시 관세 대상이다. 협회 측은 “주택 건설용 자재 7.3%가 외국에서 들어오는데, 그걸 미국서 100% 대체하려면 상당한 인프라와 시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4. 의류(Clothing)
이번 관세는 “의류·섬유에 특히 치명적으로, 의류 가격이 최대 17% 뛸 수 있다”고 예일대는 본다. 가죽제품은 18.3%, 의류는 16.9%쯤 상승 예상치다.
5. 주류(Alcohol)
미국이 EU,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 멕시코 등에서 많은 양의 와인·맥주 등을 들여오는데, 관세가 높아지면 술값이 오를 수밖에 없다. 음식점·바(Bar)에서도 그 비용을 그대로 반영할 가능성이 크다.
6. 아이폰 및 IT 기기
웨드부시 증권의 댄 아이브스는 “애플 아이폰은 대부분 중국에서 생산된다”고 지적했다.트럼프의 ‘상호 관세’로 이미 34%가 부과된 중국산에, 이전 관세(20%)가 더해져 총 54% 부담이 생길 수 있다. 아이폰 외에도 아이패드, 애플 워치, 에어팟 등 다른 애플 제품 역시 유사한 인상이 예상된다. 애플만이 아니다. 대다수 글로벌 IT 회사가 중국·대만·베트남 등에서 부품·제품을 만들지만, 대만은 32%, 베트남은 46% 등 높은 관세율을 맞았다.
관세는 불공평하다
문제는 이런 필수재의 가격이 급등하면, 부담이 커지는 건 저소득층이라는 점이다. 전문가들도 저소득층이 가격 인상을 더 크게 체감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예일 측도 “관세 부담은 소득 하위 계층일수록 가계 부담 비율이 크다”고 분석했다. 역사적으로 관세는 기업·소비자가 구입하는 재화·서비스의 가격을 올리고 소비량을 줄여왔으며, 수입 감소와 취업 감소, 경제성장 둔화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았다는 것이 택스파운데이션의 설명이다.
/ 글Alicia Adamczyk & 편집김다린 기자 quill@fortunekore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