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상공회의소 SGI(지속성장이니셔티브)가 4일 '고령층 일자리의 재발견' 보고서를 통해 "고령층 노동력을 활용해 잠재성장률 증가와 국가 재정여력 확충, 소득 불평등 완화를 꾀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50대 인구 중 대졸 이상 비중은 지난 10년간(2010~2020년) 17.1%p(21.1%→38.2%), 60세 이상 인구에서는 5.4%p(9.9%→15.3%) 증가했다. 또한 정보통신기술 발달과 평생교육 기회 확대로 고령층의 디지털 문해력이 크게 향상되어 과거와 대조된다.
SGI는 건강 수준 개선도 최근 고령층의 주목할 만한 특징으로 꼽았다. 보고서는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자신의 건강상태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비율이 지난 10년간(2012~2022년) 50대에서는 11.3%p(36.9%→48.2%), 60세 이상은 9.9%p(21.6%→31.5%) 증가했다"며 "고령층의 육체적 한계가 점진적으로 완화됨에 따라 건강이 개선되고, 나아가 AI 및 로봇 기술 등과 결합할 경우에는 더욱 생산성 높은 노동인력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SGI는 고령 인력 활용이 잠재성장률에 미치는 영향도 분석했다. 보고서는 "국내 인구구조 변화와 자본투입, 총요소생산성을 고려할 때 2024~2030년 연평균 잠재성장률은 1.5%로 예상되지만, 60세 이상 고용률을 현재(2023년 45.5%) 대비 5%p 상승시키면 잠재성장률이 0.1%p 증가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또한 보고서는 고령 인구의 경제활동 기간 연장이 국가 재정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았다. SGI 분석에 따르면, 60세 이상 인구의 고용률이 5%p 상승하면 소득세 수입이 5784억원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2023년 근로소득세 수입 대비로는 0.98%, GDP 대비로는 0.02%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SGI는 고령층 고용 확대가 소득 불평등 완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60세 이상 고령층의 소득 불평등도가 다른 연령층에 비해 현저히 높아 이들의 인구 비중 증가가 소득 양극화를 심화시킬 수 있다"며 "고령층의 은퇴 시기를 늦춘다면 가구 간 근로 및 사업소득 격차가 줄게 되어 소득 불평등 확대를 일정 부분 완화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보고서는 또 고령층의 일자리선택 기준이 변하고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김천구 대한상공회의소 SGI 연구위원은 "고령층의 일자리선택 기준이 과거에는 '임금'이 주요 고려사항이었으나, 최근에는 '업무량과 근무시간', '직무 내용' 등이 더 중요한 선택 기준으로 부상하고 있다"며 "이러한 변화는 고령층의 일자리인식과 기대가 단순한 소득 창출을 넘어 삶의 질과 자아실현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언급했다.
/ 슬롯사이트 지니코리아 김타영 기자 young@fortunekore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