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셔터스톡]](https://cdn.fortunekorea.co.kr/news/photo/202404/36460_26464_2217.jpg)
제조기업들의 경기회복 기대가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이하 대한상의)가 '2024년 2분기 제조업 경기전망지수(BSI)' 조사 결과를 1일 발표했다. 2분기 BSI는 99로 지난 1분기 전망치(83)보다 16포인트 상승해 3년 만에 기준치(100)에 가장 근접한 수준까지 올랐다. BSI는 100 이상이면 해당 분기 경기를 직전 분기보다 긍정적으로 본 기업이 많다는 의미고, 100 이하면 그 반대다.
업종별 전망은 수출실적이 개선된 업종과 그렇지 않은 업종간 차별화한 모습을 보였다. 반도체(114)는 글로벌 IT경기 회복에 따라 생산 및 수출이 본격적으로 증가하면서 기준치를 상회했다. K-뷰티 인기 영향으로 화장품 수요 및 미용 의료기기 수출이 확대되면서 화장품(124)과 의료정밀(119) 업종 역시 긍정적 전망이 우세했다. 배터리 핵심소재 가격 반등으로 업황 개선이 기대되는 전기(117)도 2분기 호조 전망이 많았다.
반면, 철강(92), 정유·석유화학(97)은 중국 내수부진 및 공급확대로 경기 회복 전망이 제한됐다. 비금속광물(90)은 전방산업인 건설업 위축에 더해 유가, 연료비 인상 등 제조원가 부담으로 기준치를 하회했다. 조선업(95) 역시 홍해 리스크 장기화뿐만 아니라 인력난, 중소 조선사 실적저하 등이 발목을 잡았다.
![[자료=대한상의]](https://cdn.fortunekorea.co.kr/news/photo/202404/36460_26465_2741.png)
2분기 기업 체감경기를 지역별로 살펴보면, 올해도 자동차 수출 증가세를 이어가는 호남권(109)과 반도체 수출비중이 높은 충청권(104)만이 기준치를 웃돌았다. 동남권(96), 대경권(98)은 자동차 업황이 비교적 양호함에도 철강 및 중소 조선사 부진 영향으로 부정적 전망이 우세했다. 부정적 전망이 가장 강한 강원권은 식음료 업체 등을 중심으로 다음 분기 체감경기 악화를 예상한 기업이 많았다. 가격상승에 따른 수요둔화 우려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기업들은 올해 상반기 실적에 영향을 미칠 대내외 리스크로 '내수소비 위축'(55.2%)과 '원자재가·유가 불안정'(50.1%)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이어'대외경기 악화로 인한 수출둔화'(35.1%), '자금조달 여건 악화'(16.9%), '환율 상승 등 리스크'(13.2%) 등 응답이 뒤따랐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수출 회복세에 힘입어 경기반등을 목전에 두고 있지만 내수 불안요인이 기업들의 기대감을 제약하는 상황"이라며, "수출 활력을 내수로 연결해 우리 경제가 성장국면에 접어들 수 있도록 총선 이후 구성될 22대 국회와 정부는 민간소비 촉진을 통해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데 힘을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 슬롯사이트사이트 김타영 기자 young@fortunekore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