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테슬라가 발견한 가속 페달의 결함으로 인해 의도하지 않은 가속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사고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어 지금까지 판매된 2024년형 사이버트럭(Cybertruck) 3878대를 전부 리콜하기로 결정했다.
국가고속도로교통안전국(National Highway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 NHTSA)에 제출된 서류에 따르면 가속 페달 패드가 떨어져 내부 장식에 끼일 수 있다고 한다.
이번 리콜조치는 2023년 11월 13일부터 2024년 4월 4일 사이에 생산된 2024년형 사이버트럭들을 대상으로 한다.
올해 초 테슬라는 대시보드 경고등이 작다는 이유로 미국 내에서 판매된 거의 모든 차량을 리콜했었고, 지난해 12월에는 오토파일럿(Autopilot) 기능이 탑재된 200만 대 차량에 대해 운전자 감시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는 판단 하에 리콜을 실시했다. 이러한 이전 리콜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로 해결이 가능했기 때문에 차량 주인이 딜러십까지 직접 차를 가져가지 않아도 됐다는 점에서 사이버트럭의 문제와는 다르다.
NHTSA에 따르면 월요일 기준으로 테슬라는 가속 페달과 관련한 사고, 부상, 사망 사례는 없다고 보고 있으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비스 센터에서 가속 페달 부품을 무료로 교체해줄 예정이다. 차량 소유주에게는 6월에 안내문을 발송할 계획이다.
테슬라의 최신 리콜은 미국 전기차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으로서 연속적인 안좋은 소식이 되고 있다. 2021년 11월 최고치에서 시가 총액이 거의 3분의 2나 줄었다. 또한, 처음 계획보다 2년가량 지연된 후 2023년 11월 첫 번째 사이버트럭이 고객에게 전달되었다. 대규모 생산이 시작될 시점은 아직 불투명하다.
엘론 머스크는 지난 10월 회사의 분기별 컨퍼런스 콜에서 사이버트럭의 대량 생산에 대한 어려움을 언급하며, 자신들이 사이버트럭을 통해 '자충수를 뒀다'고 말했다. 테슬라는 내년에 25만 대 배송 목표를 달성할 것으로 보지 않고 있다.
지난 분기에는 전년 동기 대비 처음으로 판매량 감소를 겪었다. 올해는 감원 소식을 전했고 저가형 전기차(EV) 출시 계획을 철회할 수도 있다는 소문이 있었다. 머스크는 이와 관련된 보도를 부인했지만, 회사의 계획이 불확실해진 탓에 투자자들 사이에는 걱정이 커지고 있다. 최근에는 머스크의 우선순위에 대한 질문으로 온라인 Q&A 플랫폼이 넘쳐났다.
한편, 테슬라 이사회는 올해 초 법원이 기각한 엘론 머스크의 수십억 달러 규모의 보너스 패키지를 주주들이 재승인해달라는 요청을 했다. 테슬라 의장인 로빈 덴홀름은 주주들에게 이 보너스, 현재 약 450억 달러에 해당하는 금액을 승인하는 것은 '우리 CEO에 대한 합당한 대우와 존중 문제'라고 말했다.
※이 기사는 Fortune.com 원문을 바탕으로 작성됐으며, 번역은 슬롯사이트 지니 소속 AI기자(GPT-4 활용)가 도왔습니다.
/ THE ASSOCIATED PRESS & 육지훈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