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HY?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지난달 K-MELLODY 신임 사업단장을 선임한 지 한 달 만에 개소식을 열었다. K-MELLODDY는신약 개발 속도 및 효율성을 크게 개선할 전망이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협회 4층 대강당에서 '연합학습 기반 신약개발 가속화 프로젝트 사업단(K-MELLODDY 사업단)' 개소식을 개최했다고 17일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보건복지부가 공동추진하는 이 프로젝트는올해부터5년간 총 348억원의 예산을 투입, 연합학습 기반 ADMET 예측 모델인 'FAM(Federated ADMET Model)'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프로젝트는 크게 ▲플랫폼 구축 ▲데이터 공급·활용 ▲AI 모델 개발 등으로 구분된다.
또 세부과제는 ▲연합학습 기반 FAM 운영 플랫폼을 구축하는 플랫폼 구축 및 개발 1개 과제 ▲제약사, 병원, 연구소 등에 대한 데이터 공급 및 FAM을 활용한 데이터 공급·활용 20개 과제, ▲FAM 솔루션과 응용 모델을 개발하는 AI 모델 개발 15개 과제로 구성된다.
이 프로젝트는 일회성 솔루션을 구축하는 것을 넘어,연합학습의 실용성을 검증하고 참여기관을 확대해나가는 동시에 신약개발 단계 적용 및 확장, 데이터 기여도 평가, 글로벌 협력 확대 등을추진할예정이다.
노연홍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은 "우리의 목표는 연합학습 플랫폼을 통해 다기관의 ADMET 데이터를 수집, 고성능의 예측 도구를 개발해 비용효과성을 극대화하는 것"이라며 "이를 통해 6대 제약강국 도약에 한 발 더 다가서겠다"고 말했다.
김화종 사업단장은 "연합학습 기술을 통해개별 연구기관이나 기업이 독자적으로 수행하기 어려운 대규모 데이터 분석과 모델링 작업을 공동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며 "이는 신약 개발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향후 신약 개발 프로세스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이날 개소식에는 한국제약바이오협회 노연홍 회장, 윤웅섭 이사장, 김화종 사업단장을 비롯해 보건복지부 권병기 첨단의료지원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황판식 기초원천연구정책관, 연합학습 기반 신약개발 가속화 프로젝트 사업 예종철 운영위원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송태균 바이오헬스혁신본부장, 한국연구재단 오두병 신약단장 등이 참석했다.
/ 모바일 슬롯 머신 게임 이세연 기자 mvdirector@fortunekore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