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Read the Diamond Sutra

본문영역

등록금, 일자리, 육아…트럼프가 흔드는 Z세대의 삶

미국 Z세대(30대 미만 유권자)는 트럼프에 열광했다. 하지만 이제 재무설계를 다시 해야 한다.

  • 슬롯사이트 업입력 2025.05.06 15:43
  • 기자명문상덕 기자
[사진=AP/뉴시스]
[사진=AP/뉴시스]

트럼프의 100일은 청년층의 기대와 달랐다. 트럼프 2기 행정부는 학자금 대출 상환을 더 이상 미룰 수 없게 했다. 약 500만 명이 추심 대상이 됐다. 또 전기차와 관련 인프라 수요가 줄면서 블루칼라 취업도 어렵게 됐다. 미국의 2년대 대학(커뮤니티 칼리지) 졸업생들에게 이 산업은 유망한 직장으로 꼽혔지만, 이젠 아니다. 취업문을 뚫고 출산을 준비하는 예비 부모들은 이전보다 20~30% 높아진 유모차 가격표 앞에 섰다.

기대는 실망으로 바뀌고 있다. 지난 4월 10일(현지시간) 경제지 이코노미스트가 여론조사기관 유고브와 함께 조사한 여론조사에서 트럼프의 지지율은 -29%를 기록했다(30세 미만 유권자층 기준, 직무수행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자가 긍정적으로 평가한 지지자보다 29% 많음). 취임 직후 조사에선 +5%였다. 34%포인트 줄어든 것.

5일(현지시간) 미국 슬롯사이트 업(Fortune)지는 트럼프 시대 미국 청년의 삶을 조명했다.

체납 학자금 추심…신용도직격탄

트럼프 행정부는 학자금 대출액을 돌려받기로 작정했다. 5일부터 체납자 추심을 시작했다. 행정부는 임금 압류, 세금 환급 차감, 연금 삭감 등 강제 징수를 예고했다.

연방 교육부는 2020년 3월 이후 학자금 대출 상환을 유예해 왔다. 팬데믹에 대응한 조치였다. 교육부에 따르면, 360일 이상 상환을 미뤄 채무 불이행 상태인 채무자가 500만 명, 채무 불이행 직전 단계에 있는 채무자는 400만 명이다. 전체 채무자의 약 25%다.

미국 신용평가기관 트랜스유니온(TransUnion)의 부사장 겸 연구 책임자인 미셸 라나리는 “학자금 대출을 받은 사람 5명 중 1명 이상이 상환 기한을 지키지 못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며 “실제로는 수치가 더 높을 수 있다”고 밝혔다. 라나리는 현재 학생이거나 정부 제도 덕에 상환을 미루고 있는 대출자가 많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정부에서 추심에 나설 경우 채무자들의 신용 점수가 크게 떨어질 수 있다.

조 바이든 행정부는 지난해 9월까지 채무자가 미납 사실을 신용평가기관에 신고하지 않고도 상환을 유예할 수 있는 ‘온 램프(on-ramp)’ 제도를 썼다. 제도가 끝나자 채무 불이행에 직면한 사람들의 신용 점수가 평균 63점 떨어진 것으로 트랜스유니온은 집계했다.

저소득자만의 문제가 아니다. 지난 1, 2월 채무 불이행을 경험한 채무자의 23%는 프라임 등급(660~719점 사이의 미국 신용등급 구간)의 신용 점수를 갖고 있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는 최근 연구에서 900만 명이 넘는 학자금 대출 체납자가 “2024년 상반기 신용 보고서에서 연체 내역이 드러나면서 신용 점수가 크게 하락할 것”으로 봤다. 올 여름이면 일부 채무자의 경우 연체한 금액을 급여에서 공제당할 것으로 보인다.

불안한 전기차 일자리

트럼프 대통령은 수입차에 25% 관세를 부과하며 제조업 부활을 약속했다. 지난 3월 그는 “(미국 내에) 많은 자동차 공장이 건설될 것이다. 많은 사람이 많은 자동차를 만들게 될 것”이라고 공언한 바 있다.

하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다. 완성차 업체들은 멕시코나 캐나다에서 부품을 수급해 미국에서 조립한다. 관세를 적용하면 생산 비용이 오르는 구조다. 업계에선 관세 적용시 북미 전체 생산량이 10~20%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다. 이미 펜실베이니아의 한 제조업체는 수요 감소를 이유로 인력의 10%를 해고했다.

미국 앤더슨경제연구소의 패트릭 앤더슨 소장은 “완성차 업체들이 심각한 딜레마에 빠졌다”고 말했다.

“어떤 생산을 유지할지, 어떤 건 포기할지 결정을 내려야 할 거다. 우리는 관세가 미국 전역의 일자리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한다.”

트럼프가 전기차 산업을 타깃으로 삼으면서 Z세대의 취업문도 좁아졌다. 그는 취임 첫날, 미국에서 판매되는 신차의 절반을 2030년까지 전기차로 전환하겠다는 기존 목표를 철회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전기차 보조금을 폐지하고, 충전소 설치에 들어가던 연방자금 지원도 중단했다.

프린스턴대 연구진인 이로 인해 향후 5년간 미국 내 전기차 수요가 40% 줄어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사실이라면, 기존 전기차 공장의 절반이 폐쇄 위기에 놓인다.

그의 정책은 전기차 산업 진입을 준비하던 학생들에게도 타격을 주고 있다. 제조사들은 미국 내 커뮤니티 칼리지와 협업해 블루칼라 인력을 수급하려 했다. 캔자스시티 커뮤니티 칼리지에서는 파나소닉이 8주짜리 교육과정을 운영하며 인근의 40억 달러 규모 전기차 배터리 공장에 졸업생을 채용하려 했다. 하지만 현재는 프로그램을 중단했다. 일리노이, 애리조나, 노스캐롤라이나, 캘리포니아에서도 유사한 훈련 프로그램이 운영돼 왔다.

육아용품 90% 이상이 중국산

[사진=AP/뉴시스]
[사진=AP/뉴시스]

졸업과 취업을 문을 넘고도 어려움은 남는다. 예비 부모들도 관세 전쟁의 유탄을 맞고 있다. 대부분의 육아용품이 중국산이기 때문이다.

미국 유아용품제조협회에 따르면, 핵심 유아용품의 부품 90%가 아시아에서 만들어지고, 이중 대부분은 중국에서 생산된다. 단적으로 수입 유모차의 97%, 수입 유아용 카시트의 99%, 유아용 침대의 96%, 유아용 신발의 93%를 중국에서 수입한다(미국 인구조사국).

육아 정보 웹사이트인 베이비리스트에 따르면, 유모차와 유아용 카시트 가격은 각각 평균 25%, 20% 상승했다. 고급 모델일수록 증가폭이 컸다. 유모차 제조사인 어파베이비는 자사 모델 ‘비스타 V3’ 가격을 900달러에서 1200달러로 올렸다.

미국의 유아용품 소매업체들은 슬롯사이트 업 인터뷰에서 “이미 공급 부족이 벌어지고 있다”며 “크리스마스가 위험에 처했다”고 경고했다.

문상덕 기자 mosadu@fortunekorea.co.kr

이 슬롯사이트 업를 공유합니다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