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부터 이어져온 건설경기 침체여파로 착공실적이 대폭 감소했다. 이에 따른 여파가 오는 2025년 고스란히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다.
5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2025년 전국의 아파트 입주 예상 물량은 24만1785가구로, 올해(36만7635가구)와 비교해 12만5850가구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는 2013년 19만9633가구를 기록한 이래 가장 적은 물량이다.
지역별로 경기도가 6만5367가구로 예상돼 올해(11만2755가구)보다 4만7388가구가 줄어들게 된다. 이는 전국 총 감소분의 37%에 해당하는 규모다. 특히 양주(1만546가구 감소), 수원(8218가구 감소), 화성(5197가구 감소) 등 세 지역에서만 2만3961가구가 감소한다. 이는 경기도 전체 감소량의 절반을 차지하는 규모다.
대구는 1만192가구로 올해보다 2만5613가구 줄어들고, 인천(4만6233→2만3163가구)도 2만 가구 이상 감소할 예정이다. 부산은 올해 2만5285가구에서 2025년 8674가구로, 충남은 2만6676가구에서 1만1742가구로 각각 1만 가구 이상 축소될 것으로 관측된다.
반면, 대전은 전국에서 가장 많은 7476가구가 증가할 예정이다. 그러나 이 마저도 2009년 이후 최저물량이 입주한 올해의 상황과 비교하면 예년물량을 회복한 수준이다. 작년 말 분양한 둔산더샵엘리프(총 2763가구), 지난 8월 분양한 둔산자이아이파크(총 1974가구) 등 대규모 물량공급이 2025년에 쏠리면서 일시적인 상승효과일 것으로 업계는 분석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지난해부터 시작된 부동산 시장 침체 여파가 고스란히 분양 물량 감소로 나타났다고 설명한다. 분양이 줄었으니 입주물량이 줄어드는 것 역시 당연한 현상이다.
실제로 2020년과 2021년에는 7만 가구 이상이 전국에 일반분양됐다. 그러나 지난해는 6만804가구로 전년 대비 1만 가구 이상 줄었고, 올해는 5만 가구를 밑도는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부동산업계 한 관계자는 "시장침체와 공사비 상승 등으로 호황일 때보다 수익성이 떨어지면서 자연스레 건설사와 시행사의 영업활동이 급감했다"며 "지난해에 이어 올해까지 분양시장이 위축된 점을 내다봤을 때 2025년 이후 역시 입주물량이 부진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 해시 게임 바카라 김동현 기자 gaed@fortunekore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