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슬롯 행정부가 풍력 발전소 건설을 중단시켰다.[사진=셔터스톡]](https://cdn.fortunekorea.co.kr/news/photo/202504/47786_40857_057.jpg)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해상풍력 발전에 대한 반감을 본격적인 정책 행보로 옮기기 시작했다. 노르웨이 국영 에너지기업 에퀴노르(Equinor)는 지난 17일(현지 시간), 뉴욕 앞바다에서 추진 중이던 대규모 해상풍력 프로젝트 ‘엠파이어 윈드(Empire Wind)’ 1단계 공사를 전면 중단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가 추가 심사를 이유로 공사 중단 명령을 내린 데 따른 조치다.
이 프로젝트는 연방정부와 주정부의 모든 인허가를 완료하고 이미 해상과 육상에서 공사에 착수한 상태였다. 트럼프 측의 이번 조치는 기존 인허가를 무력화하며 풍력 산업 전체를 정면으로 겨냥한 강경 행보로 보인다.
에퀴노르는 이날 성명을 통해 “엠파이어 윈드는 모든 연방 및 주정부 허가를 정당하게 확보했고 현재 공사가 진행 중인 상태”라며 “이번 사안을 관계 당국과 협의 중이며, 중단 명령에 대한 법적 대응을 포함한 다양한 수단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엠파이어 윈드 1단계 사업은 롱아일랜드 남쪽 약 24㎞ 해상에서 시작되며, 54기의 대형 풍력 터빈으로 뉴욕주 약 50만 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규모다. 이보다 더 큰 2단계 사업도 예정돼 있다. 총사업비는 30억 달러 이상이며, 2024년 말 금융조달을 완료했다. 육상 작업은 지난해 사우스브루클린 해양터미널에서 착공됐고, 해상에서는 이달 초 해저 암반 기반 공사가 시작된 상태였다.
그런데 트럼프 행정부 내무부 장관 더그 버검은 SNS를 통해 “바이든 행정부가 부실하게 승인한 정황이 있어, 엠파이어 윈드에 즉각 공사 중단을 명령했다”고 발표했다. 그는 1월 20일 트럼프가 서명한 행정명령을 근거로 들었지만, 해당 명령은 일반적으로 이미 허가가 완료된 사업에는 적용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돼 왔다.
뉴욕주 캐시 호컬 주지사는 “이런 연방의 월권 행위는 좌시하지 않겠다”며 강력 반발했다. 그는 “이 사업은 대통령 행정명령 이전에 삽을 뜬, 연방 허가를 모두 받은 모범적인 초당적 에너지 프로젝트”라면서 “노조 일자리, 에너지 비용 안정, 뉴욕의 경제 미래를 지키기 위해 끝까지 싸울 것”이라고 밝혔다.
풍력전쟁의 본격화
트럼프 측의 반(反)풍력 공세는 지난 3월 말 공화당 소속 뉴저지 하원의원 크리스 스미스가 내무장관에게 보낸 서한 이후 본격화됐다. 그는 “공사 강행이 우려된다”며 “졸속 승인 의혹이 있는 이 사업을 연방정부가 즉각 개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해상풍력 반대론자들은 어업과 해양 생태계, 군사 레이더 간섭 가능성 등을 이유로 들어왔다. 하지만 대부분은 인허가 과정에서 이미 검토를 거쳐 해소된 사안이다. 실제 엠파이어 윈드는 트럼프 1기 행정부 시절인 2017년 처음 임대 승인을 받았고, 바이든 정부 하인 2024년 최종 인허가를 완료했다. 완공 목표는 2027년으로, 뉴욕시로 직접 전력을 공급하는 첫 해상풍력 프로젝트가 될 예정이었다.
민주당 소속 뉴욕 하원의원 댄 골드먼은 “이 같은 조치는 매우 위험하고 근시안적인 반미 행위”라며 “이 결정은 미국의 에너지 자립성과 안보를 훼손하고, 수천 개의 노조 일자리를 없애며, 결국 중국에 산업 주도권을 넘겨주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에너지 수요가 급증하는 시대, 우리는 석유와 가스만으로는 버틸 수 없다”고 강조했다.
미국청정에너지협회(ACP) CEO 제이슨 그루멧도 “엠파이어 윈드 중단은 에너지 공급 확대라는 명분과 정반대의 결정”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에너지 수요가 치솟고, 소비자 가격이 상승하는 지금, 모든 국내 에너지 자원에 대해 허가 절차를 간소화해야 할 시점”이라며 “건설 중인 프로젝트를 되돌려 허가를 재검토하겠다는 발상은 모든 에너지 투자에 찬물을 끼얹는 일”이라고 경고했다.
/ 글 Jordan Blum & 편집 김다린 기자 quill@fortunekore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