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 카지노

한화 글로벌 부문이 동양환경과 친환경 열분해유 생산 플랜트 기본설계(Front End Engineering Design·이하 FEED) 계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이 계약은 '연간 4만 톤의 재활용 플라스틱을 원료로 열분해유를 생산하는' 친환경 플랜트를 충청남도 서산에 건설하는 프로젝트다. 러머스(Lummus Technology)사의 첨단 공정 기술이 적용되며, 생산된 열분해유는 나프타 등 고부가가치 화학제품의 원료로 활용하게 된다.

재활용 플라스틱 열분해는 자원 순환을 통해 탄소배출량 저감 효과를 누릴 수 있다. 플라스틱의 단순 물리적 재활용과 달리 재활용 횟수에 제한이 없고, 원료를 회수하는 방식이어서 품질이 유지되는 장점도 지닌다.

한화 글로벌 부문은 지속 연구 개발해온 폐자원 열분해 분야의 높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약 12개월간 FEED 엔지니어링을 수행할 예정이다. 사업 주관사인 동양환경은 계열사인 서해그린화학과 함께 플라스틱의 화학적 재활용 분야에 본격 진출해 순환경제 활성화를 주도할 것으로 기대된다.

송병진 동양환경 R&D센터장은 "동양환경의 자원재활용 및 에너지 전환 분야 전문성, 한화의 글로벌 플랜트 수행 경험과 설계역량, 러머스가 보유한 세계 최고 수준의 석유화학 분야 라이선스의 시너지를 통해 첨단 기술력이 집약된 친환경 플랜트를 건설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나일석 한화 플랜트 사업 담당 임원은 "한화 글로벌 부문은 탄소중립을 위한 청정암모니아, 수소, CSS(탄소 포집 및 저장), 폐자원 열분해 분야 사업을 지속 확장하고 있다"며 "이번 사업을 통해 에너지 전환 분야의 기술 경쟁력을 한층 더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편, 한화와 동양환경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라호원 박사팀과 공동 연구개발한 '폐플라스틱 에너지 생산 플랜트 기술'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국가과학기술연구회가 개최한 '출연(연) 테크노믹스 오디션'에서 대상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수상한 바 있다.

/ 업 카지노 김타영 기자 young@fortunekorea.co.kr

저작권자 © 업 카지노 디지털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