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카드와 KT 해킹 사태로 개인정보 유출이 금전 피해로 번지면서 정부가 제도 개선에 나섰지만, 전문가들은 유사 사고가 반복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이사 사장 등이 18일 서울 중구 부영태평빌딩에서 사이버 침해 사고에 대한 대고객 사과를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이사 사장 등이 18일 서울 중구 부영태평빌딩에서 사이버 침해 사고에 대한 대고객 사과를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하루가 멀다 하고 기업들의 해킹 사고가 드러나는 요즘, 정보만 털리는 줄 알았는데 이젠 지갑도 털릴 판이다. 특히 롯데카드의 피해 규모는 충격적이었다. 200GB에 달하는 데이터가 유출되며 297만 명의 회원 정보가 새어나갔다. 28만 명은 카드번호와 비밀번호 일부, CVC 번호까지 털렸다. 카드 정보만으로도 부정 사용이 가능한 상황이다. 현재까지 부정 사용 사례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지만, 고객들의 불안까지 잠재울 수 없다.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는 “침해사고로 발생한 피해액은 전액 보상하겠다”며 고개를 숙였다. 재발급 대상 고객에게는 연회비 면제를 약속했고, 10개월 무이자 할부 서비스도 제공한다.

다만 해킹 사실을 파악하기까지 보름 이상 걸린 점, 유출 규모를 처음보다 100배 이상 축소 인식했던 점은 관리 부실로 지적된다. 최대주주 MBK파트너스가 보안 투자에 소극적이었다는 비판도 나온다.

KT의 사고도치명적이었다. 불법 초소형 기지국, 일명 ‘펨토셀’을 악용한 무단 소액결제가 핵심이다. 처음엔 278명이 1억 7000만 원 피해를 입은 것으로 발표했으나, 추가 조사 결과 362명이 2억 4000만 원 넘게 당한 것으로 드러났다.

KT는 피해 고객 전원에게 소액결제 금액 부담을 없애고, 무상 USIM 교체와 보호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 3년간 무료 ‘안전안심보험’을 도입해 휴대폰 연계 금융사기 피해를 보상하겠다고 밝혔다.

물론 고객에게 사과와 보상만 내놓는다고 회복될 문제는 아니다. 기업의 보안 투자 소홀, 관리 체계 부실, 사고 대응 지연이 맞물리면서 개인정보가 금전 피해로 직접 연결됐기 때문이다.

정부 역시 엄중한 상황인식을 밝히고 범부처 차원의 근본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나섰다. 구체적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보안 체계를 원점에서 다시 점검해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기업 신고 여부와 관계없이 해킹 정황이 포착되면 정부가 즉시 조사에 착수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도 추진한다.

금융위원회는 금융권이 고도화되는 해킹 수법에 제때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동시에 해킹 사고의 사회적 파장에 맞는 책임을 금융사가 지도록 징벌적 과징금 제도를 도입하겠다는 방침을 내놨다.

다만 이런 조치가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는 미지수다. 보안 전문가들은 사후 규제와 과징금만으로는 근본적인 해킹 대응이 어렵다고 지적하고 있다. 기업이 보안을 비용이 아니라 생존의 문제로 인식하고, 시스템 투자와 상시 점검을 생활화하지 않는 한 제2, 제3의 사고는 언제든 반복될 수 있다는 거다. 제도 보완과 함께 기업 스스로의 체질 개선을 병행하지 않으면, 국민의 불안은 좀처럼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 슬롯 무료 사이트 김다린 기자 quill@fortunekorea.co.kr

저작권자 © 슬롯 무료 사이트 디지털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