웰스파고는 최근 소비지표에서 서비스 재량소비가 감소하고 있다며, 이는 과거 경기침체 직전 나타났던 전형적인 신호와 유사하다고 경고했다.

미국 슬롯 잭팟 지표가 둔화하고 있다.[사진=셔터스톡]
미국 소비 지표가 둔화하고 있다.[사진=셔터스톡]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도 경기 둔화나 인플레이션 급등 조짐은 아직 보이지 않는다는 분석이 시장 전반의 분위기다. 그런데 웰스파고는 이를 회의적으로 보고 있다.

웰스파고의 이코노미스트 팀 퀸런(Tim Quinlan)과 섀넌 그라인(Shannon Grein)은 최근 발간한 노트에서 “관세가 경제에 악영향을 주지 않았다는 주장은 잘못된 내러티브”라며 “실제 소비자 지출 지표가 초기 긍정적인 수치에서 크게 하향 수정됐다”고 밝혔다.

두 사람은 “관세가 갑작스레 도입됐음에도 소비자 지출이 아무 영향도 받지 않았다는 이야기는 처음부터 설득력이 떨어졌다”면서 “이 허상은 1분기 GDP 증가율의 초기 추정치(연율 기준 1.8%) 덕분에 유지됐지만, 실제 3차 수정치에서는 겨우 0.5%로 나타났다.”

특히 서비스 분야 소비 지출 데이터는 더 과장됐던 것으로 드러났다. 초기 2.4% 증가에서 0.6%로 대폭 수정됐다.

이런 추세는 2분기에도 이어졌다. 두 이코노미스트는 “가계가 실제로 재량소비 지출을 줄이고 있다는 점은 명백한 경고 신호지만, 대부분 간과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상품 소비 지출은 유지되고 있지만, 서비스 지출은 5월 기준 전년 동월 대비 0.3% 감소했다. 웰스파고는 “감소 폭은 작지만, 이 지표가 과거 60년간 오직 경기침체 기간 또는 직후에만 감소했다는 점이 문제” 웰스파고는 강조했다.

외식, 헬스장 이용, 스트리밍 구독 등 여가 서비스 지출은 거의 증가하지 않았고, 교통비 지출은 1.1% 감소했다. 특히 차량 정비, 택시·승차공유 서비스, 항공 여행은 가장 큰 폭인 4.7%나 줄었다. 웰스파고는 “가계가 차량 정비를 미루고, 우버를 타지 않으며, 항공편을 줄이고 있다는 건 예산이 빠듯하다는 신호”라고 설명했다.

상품 지출 역시 지속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와 가전제품 등은 가격 인상을 앞두고 ‘미리 사두기’ 수요가 몰리면서 일시적으로 급등했지만, 이후에는 하락세로 전환됐다.

한편, 인플레이션 지표도 일부 왜곡돼 있을 수 있다. 많은 기업들이 관세 시행 전 물량을 미리 확보해 두었고, 이를 재고로 소화하면서 아직까지 관세 부담을 소비자에게 전가하지 않은 상태라고 두 이코노미스트는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협상 수단으로 ‘왔다갔다’ 하는 것도 가격 전가를 늦추는 요인이 되고 있다.

“관세 관련해서도 또 하나의 ‘너무 좋아서 믿기 어려운’ 현상이 바로 물가 지표가 아직까지 우려할 만한 충격을 반영하지 않았다는 점”이라고 웰스파고는 덧붙였다.

시장 일부에서는 보다 낙관적인 시각도 있다. 캐피털 이코노믹스(Capital Economics)는 관세가 경기 둔화를 초래하긴 하겠지만 침체까지는 가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하며, 올해 미국의 GDP 성장률을 1.6%, 내년엔 1.5%로 전망했다. JP모건은 3분기 성장률이 1% 수준으로 상반기와 비슷할 것으로 보고 있다. 상반기에는 1분기 역성장 후 2분기 반등이 있었다.

하지만 웰스파고는 보다 비관적인 시각을 고수하고 있다. 미 연준(Fed)이 언제 금리를 인하해야 할지를 놓고 논쟁이 뜨거운 가운데, 웰스파고는 소비지출과 고용지표를 근거로 연준이 조속히 움직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준의 크리스토퍼 월러 이사는 고용 둔화를 이유로 이달 금리 인하를 주장했다. 반면 다른 연준 인사들은 경제가 여전히 견조하고 관세 효과가 인플레이션 지표에 아직 본격 반영되지 않았다는 점을 이유로 ‘관망’을 선택했다.

최근 발표된 소매판매 지표는 예상보다 높은 증가율을 보였지만, 이는 주로 상품 소비만 반영한 데이터다.

반면 소비자물가지수(CPI)는 또 한 번 기대보다 낮게 나왔지만, 일부 항목에서는 관세로 인해 가격이 오르고 있다는 점이 드러났고, 수요 위축 탓에 기업들이 가격 인상을 주저하는 정황도 포착됐다.

“소비자 지출은 우리가 처음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덜 견고한 상태”라고 웰스파고는 평가했다. “우리는 오래전부터 고용 시장의 안정성이 관세로 인한 물가 상승을 상쇄할 수 있다고 봐왔다. 그 믿음은 아직 유효하다. 하지만 분명한 건 관세 이후 소비자들이 소비 행태를 바꾸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 글 Jason Ma & 편집 김다린 기자 quill@fortunekorea.co.kr

저작권자 © 슬롯 잭팟 디지털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